6월 4일 화요일, 조간 브리핑 시작합니다. <br /> <br />먼저 동아일보 보시죠. <br /> <br />혹시 '마처세대'라고 들어보셨나요. <br /> <br />부모와 자녀를 이중부양하고 내 노후가 준비됐다고 응답한 비율이 62%뿐인 세대인데요. <br /> <br />어떤 내용인지 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부모를 부양하는 마지막 세대이자, 자녀에게 부양받지 못하는 처음 세대라 마처세대라고 불립니다. <br /> <br />주로 베이비붐 세대와 1960년대생이 포함되고 우리나라 인구의 16% 정도를 차지합니다. <br /> <br />마처세대 15%는 부모와 자녀를 모두 부양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들이 이중부양에 지출하는 돈은 월 164만 원 정도입니다. <br /> <br />둘 중에 한쪽만 지원하더라도 한 달에 70~80만 원 이상을 쓰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부모와 자녀가 없거나 지원하지 않는다는 마처세대는 44%로 절반에 못 미칩니다. <br /> <br />다소 슬픈 조사 결과도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본인이 고독사할 가능성을 물었는데 마처세대는 평균 '30%'라고 답한 겁니다. <br /> <br />보시는 것처럼 소득이 낮을수록 고독사에 대한 우려가 크죠. <br /> <br />월 200만 원 미만인 응답자들은 본인의 고독사 확률을 평균 50%로 전망했습니다. <br /> <br />마처세대 10명 중 6명만 본인의 노후를 준비하고 있다고 합니다. <br /> <br />부모 자녀와 본인의 부양 부담, 여기에 더해서 고독사 우려까지 짊어진 세대를 조명하는 기사였습니다. <br /> <br />다음은 한겨레신문입니다. <br /> <br />다음 보기 중 저출생 해결 대책으로 가장 적합한 걸 고르라는 객관식 문제가 하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여성 1년 조기 입학, 케겔 운동 결합 국민체조 등 다소 황당해 보이는 내용들이죠. <br /> <br />하지만 모두 실제로 나온 정책 제안들입니다. <br /> <br />헛웃음만 나오는 저출생 문제풀이라고 신문은 표현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먼저 여성 1년 조기 입학은 한국조세재정연구원 보고서에 담긴 내용입니다. <br /> <br />유아 발달 특성을 무시하고, 성차별적이란 비판이 일었죠. <br /> <br />또 저출생 정책 컨트롤타워인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는 지자체가 미혼남녀 만남을 주선하라고 독려했습니다. <br /> <br />설령 미혼남녀가 커플이 돼도 결혼이나 출산까지 이어질지는 물음표가 붙죠. <br /> <br />이밖에 한 서울시의원은 케겔 운동과 체조 동작을 결합한 운동을 저출생 대책으로 내놔서 논란이 일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정부 기관과 지자체, 정치인까지 검증되지 않은 황당한 정책을 쏟아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장기적인 비전은 사라지고 조급한 국가주의 발상에서 적합하지 않은 정책이 나오고 있다고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정채운 (jcw178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0604070858175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